미국 대공황: 광란의 20년대와 1929년 주식시장 붕괴

그리고 낙관적인 마음으로 미래를 향해 나아갑니다.”
캘빈 쿨리지 미국 대통령(1928)
서론: 순환과 위기에 대하여
대공황의 사건은 순전히 시장 경제의 한계, 즉 가장 약한 점의 문제를 보여 주었고 그 후 국가 규제 추세가 유행했습니다. 그때의 경험은 매우 귀중하며 지금도 위기방지정책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들이 말했듯이 경제학을 공부하려면 대공황을 공부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미국의 두 주요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과 전 연준 의장 벤 버냉키(Ben Bernanke)가 했던 일입니다. 1929년 붕괴에 대해 잘 알려진 또 다른 학자로는 크리스티나 로머(Christina Romer)가 있는데, 그는 2010년까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경제 자문 그룹의 수장이었습니다.
시장경제는 순환적이다. 2008년 위기 이후 러시아는 실제로 2000년대 초반의 특징이었던 활발한 경제 성장 추세의 새로운 수준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2008년부터 2023년까지의 기간은 전 세계적으로 긴 휴가였지만, 이것이 매년 계속되면 미국 증권시장의 새로운 버블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새로운 글로벌 위기의 위험이 높아진다. 여러 번 있었지만 완전히 무너진 적은 없었습니다.

2011~2023년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새로운 "버블"(출처:Investing.com)
장기간의 재정적 안정으로 인해 금융 기관, 위험 관리자 및 규제 기관은 경계심을 잃게 됩니다. 일부 위기는 예기치 않게 발생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결과는 배가되고 대부분 국가의 여러 실수로 인해 발생합니다.
당시의 사건을 오늘날의 환경에 완전히 투영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제 경제 과학, 금융 기관 및 국가 경제 규제 조치가 훨씬 앞서 있습니다. 하지만 역사 대공황과 그 회복은 글로벌 금융 역사상 가장 교훈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미국의 "번영"
20년대 미국 경제는 호황을 누렸고, 1920년부터 1929년까지 GDP는 17,2억89,246천104,6만 달러에서 XNUMX억 달러로 XNUMX% 성장했습니다. 국가는 활발히 발전하고 있었고 자동차, 라디오, 비행기 등 당시 혁신적인 새로운 유형의 상품이 등장했습니다. 자동차, 화학, 전기, 무선 공학 및 기타 산업이 발전했습니다. 사실 미국은 새로운 기술질서에 들어서고 있었다.
미국 경제의 엄청난 힘은 1929년 자동차 산업이 약 5,4만 대의 자동차를 생산했고, 총 운행 차량 수는 약 26,5만 대였다는 사실에서 입증되었습니다. 비교를 위해: 러시아 연방의 승용차 생산량 2019년에는 1,5만개였습니다.
미국의 얼굴은 변하고 있었습니다. 헛간 대신 거대한 엘리베이터가 나타났고, 새로운 아스팔트 도로가 나타났으며, 집에 전기가 통했고, 송수관과 난방 시스템이 건설되기 시작했습니다.

America 20s (시카고)
미국은 전 세계 자동차의 90%를 차지했다. 20년대 말 새 차의 가격은 약 600달러, 중고차는 300달러, 오래된 차는 100달러 정도였습니다. 미국 근로자는 평균 140~150달러를 받았고 자동차는 할부로 구입할 수 있었으며 사치품이 아닌 "교통 수단"이 되었습니다.
라디오를 보유한 가구 수는 40%로 증가했고, 세탁기는 8%에서 24%로, 진공 청소기는 9%에서 30%로, 전기는 1920년에서 1930년 사이에 35%에서 68%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의 엄청난 기술적 우위를 나타냅니다.
경제 발전은 인구의 생활 수준 향상과 저축액 증가로 이어졌으며 이는 주식 시장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1925년부터 1929년까지 주식 시가총액은 3,3억 달러에서 27억 달러로 약 87배 증가했습니다. 1929년 위기 직전의 주식 시가총액은 GDP의 약 83%였습니다. 100~1947년 물가지수(1927%~1929)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은 크지 않았습니다. 74,2였다; 73,3; 각각 73,3.
연준은 '연성' 통화정책을 추구했고, 1921년부터 1927년까지의 할인율은 6,5%에서 4,0%로 감소했습니다. 당시의 경제 이데올로기는 시장 자유주의, 즉 경제에 대한 국가의 불개입 원칙인 "자유방임"이 지배했으며, 시장의 힘은 자기 규제를 위한 무한한 기회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경제적 번영은 "번영" 이론을 낳았습니다. 영원한 경제적 번영은 실제로 환상으로 판명되었습니다. 풍요의 왕국, 새로운 진보가 도래하고 경제 발전이 사회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것 같았습니다. H. Hoover의 전임자인 Calvin Coolidge 미국 대통령은 1928년에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공화당의 허버트 후버 새 대통령은 마침내 빈곤에 작별을 고하고 모든 미국 시민이

미국은 "뒤쳐지고 있다": 1920년대
성장을 방해하고 위기를 더 가까이 가져온 것은 무엇입니까?
이는 고용된 근로자의 대부분과 사회 상층부 사이에 소득에 큰 격차가 있었고 낮은 임금 수준이 성장을 뒷받침할 수 없었고 유효 수요가 충분하지 않았던 칼 마르크스 시대의 모델과 똑같습니다. . 미국의 유명한 경제학자 J. 갤브레이스는 당시 미국을 지배했던 급진적 자유주의가 엄청난 사회적 불균형을 초래한 것을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보았다.
수천 개의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흡수되는 생산 집중 과정이 계속되었습니다. 록펠러, 모건, 멜론, 듀폰 등 금융그룹이 눈에 띄는 약 200개 대기업이 미국 국부의 최대 50%를 통제했다. 전체 기업 수의 5%가 미국 기업 전체 자본의 49%를 집중시켰습니다.
자본의 집중은 상당한 사회적 계층화를 가져왔습니다.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시민의 약 0,1%가 전체 저축의 약 34%를 갖고 있는 반면, 시민의 약 80%는 저축이 전혀 없었습니다. 인구 대부분의 연간 소득은 연간 $1~500, 즉 한 달에 $2~500였습니다. 다른 극단에는 연간 소득이 125억 달러 이상인 가장 부유한 가족이 200명 있었습니다. 14년에는 인구의 816%가 국가 부의 100%를 소유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총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촉진하기 위해 기업은 소비자 신용을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할부 판매액은 5억 ~ 8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그러나 신용을 통한 수요 자극에는 단점이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수요가 증가하지만 인구의 소득을 "먹습니다". 이제는 누구에게나 친숙한 그림이지 않나요?
사회가 발전하려면 사회와 가장 부유한 부분 사이를 포함하여 특정 합의가 필요합니다. 부자가 받는 소득이 항상 경제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며, 소비되거나 비생산적으로 소비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J.M. 케인스가 믿었던 것처럼, 정상적인 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소득과 소비의 격차를 새로운 투자로 채워야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 수입의 상당 부분이 주식 시장으로 갔지만 실물 부문으로는 가지 않았습니다. 사회의 가장 부유한 부분이 이를 국가 및 사회와 공유하여 사회 발전과 진보, 인프라 개발을 촉진하고 덜 부유한 사람들을 위한 소득 재분배를 촉진할 수 없다면 국가는 조만간 막다른 골목에 이르게 될 것입니다. .
F. D. 루즈벨트(F. D. Roosevelt)는 초자유주의 체제 외에 도덕적 요인도 원인으로 보았다.
위기 이전에 미국 경제가 이렇게 성공적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입니까?
제XNUMX차 세계대전 동안 미국은 산업 잠재력을 급격히 증가시켰고 이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습니다.

제XNUMX차 세계대전 중 미국 경제 성과의 성장(Tarle에 따르면)
전쟁이 끝날 때까지 미국은 자동차의 85%, 석유 제품의 66%, 철강의 50% 이상을 생산했지만 인구는 세계 인구의 6%에 불과했습니다. 1913년부터 1929년까지 세계 산업 생산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3배 이상 증가해 40%에 달했고, 미국 국부는 4% 증가했으며, 미국의 산업 제품 수출은 XNUMX배 증가했습니다.
학자 Evgeniy Tarle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미국은 제XNUMX차 세계대전과 제XNUMX차 세계대전에서 유럽의 문제로부터 이익을 얻었습니다. 그러나 유럽에서 생산이 정상화되면서 미국에서도 생산 감축이 시작되었습니다.
경기 침체의 첫 징후는 1924년에 나타났으며 연준은 통화 공급을 늘리기 위해 부양책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가 부양되었지만 주식 시장의 거품이 발생했습니다. 1926년 연준은 투기의 물결을 막기 위해 통화정책을 어느 정도 긴축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은행 금리(M. Skosen 기준)
1927년에 다시 불황이 닥쳤고 연준은 "착륙"에 저항하려고 시도했으며 그 후 다시 통화량과 신용 배출을 늘렸습니다. 이는 경기 순환을 되살리려는 첫 번째 시도 중 하나였습니다.
1927년 4월, 연준은 금리를 3,5%에서 XNUMX%로 낮췄습니다. 동시에 대부분의 재정 자원은 산업계에 유입되지 않고 투기 거래로 인해 비누 거품이 급격히 부풀어 오르는 주식 시장에 참여했습니다.

미국의 총 화폐 공급 증가율(M2 총계), 1921~1929년(전년 대비). M. Skosen에 따르면.
체이스 맨해튼 은행(Chase Manhattan Bank)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B. 앤더슨(B. Anderson)은 연준의 정책이 "잘못되고 위험하다"고 거듭 비난하면서 연준의 결정에 대해 언급하면서 가장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1928년 초부터 1929년 190월까지 기간 동안 다우존스 지수는 382에서 XNUMX로 상승해 거의 두 배나 올랐습니다.
J.C. 길브레이스(J.C. Gilbraith)를 포함한 많은 경제학자들에 따르면 영국의 금본위제를 유지하기 위해 1927년에 금리가 인하되었습니다. 영국은 야망 때문에 그를 지원하고 싶었지만 동시에 통화가 강화되고 대외 무역 수지가 악화되고 금 유출이 시작되어 미국에 정착했습니다.
이런 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려면 미국, 영국, 독일의 통화 당국이 합의한 대로 미국의 금리를 낮추어야 했습니다. 동시에 유럽에서도 문제가 시작되었습니다. 판매 시장이 부족한 상황에서 1927년 독일에서는 과잉 생산 위기가 시작되었습니다. 금리가 하락하고 모든 자본이 미국으로 흘러들어 미국 주식시장이 부풀어올랐습니다. P. Bernstein은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유럽인들은 자본 유출을 막을 수 없었다. 1927~1929년에 산업 생산이 성장했지만. 미국에서는 11%에 달해 주식 가치가 2,3배 증가했습니다.
1928년에는 경기 순환이 둔화되었고, 이는 소비자 수요 감소와 경제 투자 감소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해에 단기 은행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새로운 산업의 급속한 성장에도 불구하고 경공업, 석탄 채굴, 농업 등 일부 전통적인 산업에서는 과잉 생산의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농업 부문에 있었습니다. 농민들의 소득은 줄어들기 시작했고, 농촌 농장은 망하고 규모가 커졌습니다.
거품 날리기: 주식 러시
거품은 부동산 시장에서 시작됐다. J.C. Gilbraith는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길브레이스는 다시:

미국 시장 버블: 20년대
통화 당국은 통제되지 않은 주식 시장의 발전을 정상화할 수 없었습니다. 교환 신용은 상당히 접근 가능했고 마진 보안은 약 10%였습니다. 즉, 구매한 주식의 90%에 대해 새로운 대출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레버리지는 1 대 10이었습니다. 1929년 40월까지 전체 주식의 1,5%가 신용으로 구입되었습니다. 은행 중개 대출 - 1925년 2,6억 달러에서 1928년 12억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투기의 성장은 브로커에게 약 XNUMX%에 달하는 저렴한 대출 이자율로 인해 촉진되었습니다.
투자자들은 매입한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고, 받은 대출금을 이용해 신주를 매입하는 등 '피라미드'를 적극적으로 구축했습니다. 그리고 주가가 상승하는 동안 이 전략을 통해 좋은 수익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일부 주식은 실제 자산으로 뒷받침되지 않는 본질적으로 모형이었습니다.
일부 추산에 따르면 마진 계좌 수는 0,6만 ~ 1,0만 개에 이릅니다. 총 중개계좌 수는 약 1,5만 개였으며, 이와 동시에 주주들의 자금으로 주식을 매입하는 투자회사들도 활발히 등장하기 시작했다.
강력한 정보와 재정적 지원에 의존하여 필요한 증권 가격을 부풀리는 투기꾼 간의 가격 조작과 공모가 널리 퍼졌습니다. 시장을 쉽게 수익을 창출하는 도구로 전환함으로써 플레이어는 점차 안정성을 약화시켰습니다.
일부 추산에 따르면 인구의 상당 부분이 15만 명에서 25만 명에 달하며 인구는 약 120억 XNUMX천만 명으로 주로 가장 부유한 계층에 속해 있다고 합니다. 주식 시장 데이터는 전신으로 전송되었고, 수많은 중개소의 학교 게시판에는 분필로 시세가 적혀 있었습니다.
J.C. Gilbraith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모든 사람들은 플로리다에서 붕괴가 일어났다는 것을 이해했으며, 증권 거래소의 플레이어 수에 비해 부동산 투기꾼의 수가 극히 적었지만 거의 모든 도시에서 이 사기에 가담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남해 거품이 터진 후 영국인들은 한 세기 동안 가장 존경받는 기업의 주식까지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았습니다.
미국에서는 플로리다가 붕괴된 이후에도 빠르고 쉬운 풍요의 가능성에 대한 주민들의 믿음이 매일 커졌습니다.”
비관론자들은 미국인들이 이익을 추구하면서 신중함을 완전히 잃었으며 그러한 무모함은 조만간 처벌받을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주식의 급속한 성장은 실물 부문의 자원 유출에 더욱 기여하여 실적 저하를 촉발했습니다. 주식시장의 성장은 경제적 번영의 환상을 낳았고, 후버 대통령은 국가의 미래에 대해 두려움이 없다고 말했다.
수많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당시 금융 엘리트들은 대부분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습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낙관론자"는 증권 거래소에서 활동했던 통화 이론 분야의 유명한 권위자 인 예일 대학교 교수 Irving Fisher였습니다. 주요 경제 신문들은 계속해서 일반인에게 "요금을 청구"하면서 "영구 운동 기계"라는 환상을 뒷받침했습니다.
위기 직전에 연준은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한 조치를 취했고, 1928년 3,5월부터 5월까지 금리를 2008%에서 1926%로 인상했습니다. 그리고 이는 2년 전야의 금리 인상과 마찬가지로 종말의 시작이었습니다. 통화공급 증가율이 둔화됐다. 43,7년에 화폐 공급량 M1927가 44,7이었고, 2,2년에 1928억 달러(46,42% 증가), 3,8년에 1929(2% 증가)였다면, 46,6년에 총 M0,38는 XNUMX억 달러(XNUMX% 증가)에 이르렀습니다. % 증가하다). 동시에 경제에서는 주로 환어음 등 화폐 대체물의 양이 증가했습니다.
1929년 봄, 연준은 연준 회원 은행들이 주식 매입을 위해 대출을 발행하는 것을 금지했습니다. 1929년 8월 시장은 약간의 하락세를 보였지만 이후 시세는 다시 성장했습니다. 위기 직전인 5월 6일 연준은 금리를 XNUMX%에서 XNUMX%로 다시 인상했습니다. 수많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사람들은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동시에 Bernard Baruch, John Raskob 등과 같은 가장 진지한 선수들은 이미 봄까지 미리 포지션을 마감했습니다.
1929년 주식시장 붕괴
3월 381.17일 지수는 최고치인 5에 도달했습니다. 1929년 XNUMX월 XNUMX일, 금융 컨설턴트 Roger W. Babson은 임박한 재난에 대해 추측했습니다. 그러나 같은 교수 I. Fischer는 즉시 이 평가를 반박했습니다.
얼마 후 그는 투자자들을 더욱 안심시켰습니다.
그러나 시장은 점차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20년 1929월 XNUMX일, 뉴욕 내셔널 시티 은행 회장인 찰스 미첼은 독일에서 주주들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보냈습니다.
재난이 일어나기까지 시간이 거의 남지 않았습니다.
이미 24월 12일(소위 '검은 목요일', 검은 목요일) 뉴욕 증권거래소에서 주식시장 붕괴가 발생했습니다. 거래 개시 후 한 시간 만에 주가가 하락하기 시작했고 00시가 되자 패닉이 일어났습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지분을 팔려고 했습니다.
패닉이 시장 전체를 휩쓸었고 모두가 주가 하락을 두려워하며 지켜보았습니다. 이날 다우지수는 305.85에서 272.32로 하락해 11% 최저치까지 떨어졌고, 일부 지지를 받은 뒤 299.47로 마감했습니다. 약 12,8만주가 거래되었습니다. Continental Illinois Bank of Chicago의 CEO인 Arthur Reynolds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상황을 구하기 위해 은행 그룹(D.P. Morgan의 대리인 Thomas Lamont가 이끄는)은 시장을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약 25만 달러를 모아 구매자로서 시장에 진입했습니다. 이로 인해 쇠퇴가 잠시 지연되었지만 모든 것이 내리막 길을 걸었습니다. '블랙먼데이'인 28월 13,47일 월요일에도 거래량이 9만주 이상에 달하는 등 주가가 XNUMX% 하락하는 등 하락세를 이어갔다.
동시에, 미래 미국 대통령 존 케네디의 아버지인 올드 조(Old Joe)라고 불리는 조셉 패트릭 케네디(Joseph Patrick Kennedy)는 28월 XNUMX일에 자신의 주식을 모두 매각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그러나 전설에 불과함) 다음 사건으로 인해 그는 이렇게 했습니다.
- 아저씨, 주식시장 게임을 아시나요? - 소년이 아무렇지도 않게 물었다.
“그런 것 같아요.” 조 노인이 웃었다.
– 나는 철도 회사의 주식을 여러 개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과 함께 무엇을 하라고 권하시나요?
– 주식이 있나요? – 케네디는 놀랐습니다.
- 예. 아버지는 XNUMX개를 사셨고, 나는 XNUMX개를 샀습니다. 어떻게 관리하는 것이 가장 좋나요? 혼란을 극복한 케네디는 조언했다..."
조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케네디는 이제 주식을 팔아야 할 때라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유명한 존 모건도 다음 주식 시장 위기가 발생하기 몇 시간 전에 자산을 버렸습니다. 그에게도 비슷한 전설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다음날 더 유명해졌습니다. 29월 16,4일(소위 "검은 화요일", 검은 화요일), 뉴욕 증권 거래소에 기네스 기록이 세워졌을 때 판매량은 240.07만 주에 달했습니다. 이날 다우지수는 11,73% 하락한 XNUMX 수준으로 하락했다.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패닉이 다시 시장을 사로잡았습니다. 어떤 그룹도 이 인용문을 지지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주식시장 하락세를 심화시킨 요인은 무엇인가?
공황 외에도 신용으로 주식을 구매합니다. 대출 담보로 사용되었던 주식의 감가 상각에는 마진 담보 (마진 콜) 보충이 필요했고, 은행은 중개 회사에 대출 상환을 요구하기 시작했으며 후자는 어떤 가격으로든 주식을 투매해야했습니다. 이 과정은 곰들에게 훨씬 더 효과가 있었습니다.
연준은 1월 5,5일 금리를 15%로, 4,5월 13일에는 199%로 인하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와 작은 반등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48월 2일 다우지수는 이미 25를 기록했고, 약 30개월 만에 최고치에서 약 30% 하락했습니다. XNUMX~XNUMX월 투자자 손실은 약 XNUMX억~XNUMX억 달러, 즉 GDP의 약 XNUMX%에 달했습니다.
1929년 1932월부터 381.17년까지 다우지수는 41.22에서 9로 즉 17배 하락했습니다. United Steel의 주식 가치는 80배, General Motors는 거의 33배, Radio Corporation은 27배, Chrysler는 1954배 하락했습니다. 시장은 25년에만 위기 이전 가치에 도달했습니다. 회복 기간은 약 XNUMX년(!)이었습니다.

하락세는 유럽시장(런던, 파리, 베를린)으로 확산됐다. 처음에는 투기에 참여하지 않은 일반 인구 사이에서 지배적 인 분위기는 샤덴 프로이데였습니다. 탐욕은 처벌되었습니다. 그러나 미국에서 기업과 개인의 대량 파멸이 시작되었고, 연쇄 체납으로 경제 전체가 위기에 빠졌습니다.
주식 외에도 부동산도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주식시장이 붕괴되기 전부터 존재했던 경기침체의 조짐이 급격히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위기는 유럽 국가로 확산됐다.
국제 무역이 붕괴되었고 각 국가는 관세를 인상하기 시작했습니다. 상점 선반에는 상품이 가득했지만 시민들은 구매할 수단이 없었습니다. 경제와 금융 시스템이 파괴되었습니다. 실제로 미국은 과잉생산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실제로 대공황은 마르크스 이론의 부분적인 정확성을 보여 주었고, 더 나아가기 위해 자본주의 체제는 주로 인구 대다수의 임금과 생활 수준을 높이기 위해 막대한 양보를 해야 했습니다.
계속 될 ...
링크 :
T. M. Timoshina, “외국의 경제사”, Justitsinform, 모스크바, 2003, pp. 383–386.
바실리 갈린(Vasily Galin), “전쟁의 정치경제학. 자유주의의 막다른 골목”, 모스크바, 알고리즘, 2007, 335페이지.
Anatoly Utkin "경제 위기에서 살아남는 방법", Moscow, Eksmo, 2009, p. 11.
학자 Tarle E.V. 작품: Volume V. – M.: 소련 과학 아카데미, 1958. P. 371.
M. Skosen, “1929년의 붕괴를 누가 예측했는가”
J. K. Gilbraith “1929년의 대붕괴”, 민스크, 2009년, 26페이지.
조셉 케네디의 순간 또는 구두닦이 소년 이야기
월스트리트의 검은 목요일
V. A. Tsvetkov, 순환과 위기: 이론 및 방법론
측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