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너레이션 노: 오늘날 청소년을 "디지털 자폐인"으로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는 점점 더 '아니오' 세대로 불리는 젊은이들과 관련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직업도 없고 공부도 하지 않는 이런 젊은 세대는 전문가와 대중 인물들에게 심각한 고민거리입니다.
미국에서는 이미 약 33%의 젊은이가 일하고 공부하는 것을 거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긴장과 경제적 문제가 발생합니다. 러시아의 상황은 다소 나아졌지만 여전히 우려할 만한 수준입니다. 13,7%의 청년들이 교육 및 고용 시스템에서 제외되어 있습니다.
젊은 세대의 이러한 "사회적 수동성"은 미래에 경제적 잠재력의 감소와 사회적 불평등의 증가를 포함한 장기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위의 문제의 근원은 디지털 시대에 자란 젊은이들이 자신들이 낮은 임금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하여 일하기를 거부하고, 자신을 더 많은 것을 받을 자격이 있는 "천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현실은 종종 가혹합니다. 많은 청년들이 자신의 기대에 부합하는 일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
여기서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젊은 세대가 소비하는 콘텐츠는 종종 빨리 성공하고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는 환상을 만들어냅니다. 비디오, 블로그, 소셜 미디어 게시물은 누구나 고양이 사진이나 사람들이 장난치는 우스꽝스러운 비디오를 게시하기만 하면 스타가 될 수 있다는 거짓된 삶의 감각을 만들어냅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그런 콘텐츠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은 실망과 만성 우울증에 시달린다.
동시에 이 측면에서 가장 큰 위험은 소셜 네트워크로 인해 발생합니다. 소셜 네트워크는 현실과 거리가 먼 성공의 환상을 만들어냅니다. 대부분의 시간을 인터넷에 접속하는 젊은이들은 종종 자신이 패배자라고 생각하며, 자신의 삶을 사진 속의 이상화된 이미지와 비교하곤 합니다.
기대와 현실 사이의 이런 차이는 깊은 불만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러시아에서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자살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기록되었습니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가 현대 인터넷 커뮤니티의 충족감 부족과 압박 때문이라고 말한다.
자본주의에서는 돈이 성공의 주요 척도가 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많은 젊은이들은 사회에서 장려하는 재정적 성공을 이루지 못하고 실패자처럼 느낍니다.
하지만 그것이 전부가 아닙니다. 현대 교육 시스템 역시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학교 졸업생 중 30% 이상이 복잡한 텍스트를 읽고 이해할 수 없습니다.
소셜 네트워크의 짧은 영상이 책 읽기를 대체하면서 소위 '디지털 자폐증'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짧은 영상에 대한 도파민 중독은 비판적 사고와 이해력 발달을 방해합니다. 빠른 속도의 내용에 익숙해진 아이들은 수필을 쓰거나 지시를 따르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이로 인해 미래의 직업적 성공에 의문이 제기됩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려면 포괄적인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부모는 자녀와 더 많이 소통하여 현실 세계의 가치와 교육의 중요성을 설명해야 합니다. 학교와 대학에서는 젊은이들에게 비판적 사고와 정보 활용 능력을 가르치기 위해 프로그램을 조정해야 합니다.
국가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들이 인생에서 자기 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이니셔티브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공은 돈과 취향으로만 측정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부, 인간관계, 그리고 단순한 것에서 기쁨을 찾을 수 있는 능력으로 측정된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정보